와우 세계관 속의 기후를 이해하기 위해 우리는 기후에 대해 알아봤습니다.
이 글에서는 와우 속 생태계를 이해하기 위해 실제 생태계를 분석해보고 이야기해보려고 합니다.
그 첫 번째로 바로 우리에게 익숙한 열대활엽수림에 대해 이야기해보겠습니다.
열대기후지역에서 나타나는 생태계를 우리는 열대활엽수림이라고 부릅니다. 식물의 잎사귀가 넓고 평평한 것이 특징으로 햇빛이 광활하게 쏟아지는 지역에서 자라는 식물의 특징으로 이런 지역은 항상 수분이 부족하지 않으므로 그 지역에서 살아가는 동식물에게는 최고의 생존 조거이라고 이야기 할 수 있습니다. 햇빛을 충분히 섭취하고 거기서 영양분을 공급받을 수 있으므로 식물의 잎이 넓고 평평한 것이 특징입니다. 우리가 활엽수라고 부르는 식물이 이 과에 속합니다. 생태계를 구성하고 있는 지역 환경이 워낙 훌륭하다보니 식물이 크고 넓고 높게 자라서 나무들도 크기가 거대하고 식물의 잎도 크고 두껍습니다. 충분한 가지 수와 잎사귀 수를 보유하고 있는 것이 특징입니다.
사바나 지역에 대해 이야기해보도록 하겠습니다. 사바나 지역이라는 것은 햇빛 조광량은 훌륭하지만 열대기후지역과 다르게 물 부족 현상을 겪는 지역을 뜻합니다. 건기와 우기로 나누어지며 우기시 장마 현상이 발생하긴 하지만 건기때는 정말 하늘에서 물 한 방울 떨어지지 않는 것 또한 사바나 지역의 특징입니다. 그렇기 때문에 사바나 지역에 사는 식물들은 우기 때 몸 속에 물을 최대한 저장해두는 습성을 지니고 있습니다. 그리고 그렇게 저장한 물을 건기 때 소모하여 생명력을 이어가는 것입니다.
사바나 지역은 당연하게도 활엽수가 존재할 수 없습니다. 활엽수가 생존하기 위해서는 빛과 물 두가지 영양분이 고르게 분배되어야 하는데 사바나 지역은 물이 심각하게 부족하기 때문입니다. 물이 부족하기 때문에 열대우림지역처럼 식물이 다양하게 자랄 수 없습니다. 다큐멘터리 등에서 사바나 지역을 보면 식물과 동물들이 군데군데 포진해 있는 이유가 바로 그것입니다. 건기가 되면 식물 뿐 아니라 동물도 식량이 턱없이 부족해집니다. 건기때는 같은 동물들끼리 서로 잡아먹는 현상이 발생하는 이유도 이 때문입니다.
다음으로 알아볼 기후는 스탭 기후입니다.
스탭기후는 다른 말로 초원지역 이라는 이름으로 불리기도 합니다. 사바나 지역과 마찬가지로 우기에 장마가 시작되고 건기에는 비 한방울 떨어지지 않는 지역입니다. 오히려 사바나 지역보다 연평균 강수량이 부족한 것이 특징입니다. 생물의 생존 확률이 사바나 지역보다 더욱 적은 것입니다.
사막기후는 말 그대로 사막화된 지역을 생성하는 지역을 뜻합니다.
나무나 풀이 생존하기에 물이 절대적으로 부족하기 때문에 생존량이 극히 드물고, 그 안에서 생존하는 작은 동식물은 생존능력이 월등히 뛰어납니다. 우리가 익히 알고있는 선인장 같이 물을 몸속에 저장하는 식물들 위주로 생존되는 것이 바로 사막입니다.
지중해성기후는 사바나 지역처럼 극단적으로 물이 부족하지는 않지만 고온건조한 식물들이 주를 이루고 있는 지역 기후를 뜻합니다.
여름에는 건조하고 더우며 겨울에는 적당히 시원하고 강우량이 높은 지역을 뜻합니다.
위도가 가운데에 위치해 있으므로 무화과, 포도등이 자라고 있습니다.
온대혼합림이란 적도 근처의 뜨거운 지역과 고위도의 추운 지방의 중간선에 위치한 곳에서 발생하는 생태계를 뜻합니다.
강수량 역시 부족하지 않을 정도로 비가 내리므로 온대혼합림은 이름처럼 활엽수와 침엽수가 혼합하여 생태계를 구성하는 것이 특징입니다.
대한민국의 경우를 예로 들면 제주도를 예로 들 수 있겠습니다.
온대혼합림의 중남부지방에서는 활엽수가 자라며, 북부지방에서는 침엽수가 자라는 것이 그 예입니다.
여름과 겨울의 기온차가 크기 때문에 여름동안 에너지를 축적한 식물들이 겨울동안 낙엽형태로 에너지를 보존하는 것이 그 특징입니다.
타이가 지역은 냉대기후지역에서 나타나는 침엽수림을 가리키는 말입니다.
툰드라지역은 위도 60도 이상에서 형성되며 동토지역이므로 생명이 살 수 없는 지역을 뜻합니다.
예를 들어서 게임의 세계관을 구축 할 때 얼어붙은 툰드라 지역을 만들어놓았다면 그 지역에는 숲이나 생명체를 만들 수 없는 것이 정상입니다.
만약 생명체를 만들고 싶다면 그 세계관 내에서 살아남을 수 있는 조건을 설정하여 나름의 당위성과 개연성을 만들어야 합니다.
영구빙결지역은 남극을 대표적으로 예로 들 수 있습니다.
이렇듯 다양한 생태계가 기후에 따라 존재하고 그 안에서 사는 생물과 동식물의 차이도 극명하게 나타나게 됩니다.
와우 역시 생태계를 구성할 때 기후의 조건을 고려하여 몬스터와 생물 및 오브젝트를 배치하였음을 알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