별 썸네일형 리스트형 별의 생애주기를 알아보자. 원시 상태의 별이 핵융합반응을 거쳐 여러번의 수축을 반복하며 드디어 주계열성이 되면서 우리가 알고있는 star라고 부르는 그것이 되는 것입니다. 이런 탄생과정을 알지 못하면 기획을 할 때 무분별하게 말도 안되는 것을 아이디어로 내고 그걸 구현하는 불상사가 발생하게됩니다. 물론 모든 유저가 우주나 별의 탄생에 관심이 있지도 않을 것이고 알지 못할 수도 있습니다.하지만 세계관을 만들고 우주를 창조하는 기획자는 적어도 이런 간단한 내용들을 알고 있어야 자신의 게임에 적절하게 섞어서 사용할 수 있다는 생각이 듭니다. 다시 우주로 넘어와보면 이 주계열성이 된 별을 기준으로 별의 생애주기를 총 8단계로 나눠서 설명할 수 있습니다.1단계는 바로 주계열성의 중심에서 수소를 태우며 헬륨을 발생시키게 됩니다. 주계열성의 .. 더보기 우주의 기원을 정리해보자. 이번 시간에는 기획자가 알아야 하는 우주에 대해 설명해보려고 합니다.별의 진화와 원시 우주를 통해 세계관을 구축하는데 어떤 정보들이 도움이 되는지 알아보도록 합니다. 우리가 살고있는 지구별, 즉 지구에서 하늘을 바라보면 밤에는 별이 많이 떠있습니다. 물론 현대시대에 와서 공기의 질과 여러가지 자연 현상으로 맑은 하늘에서 별을 찾는게 점점 어려워지고는 있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아직도 시골밤에 낡 밝은 밤이면 밤 하늘의 별을 가까이서 볼 수 있기도 합니다. 우리는 그런 별을 바라보며 별이 반짝이는 듯한 느낌을 받고는 하는데 실제로 대기권을 지나 우주에서 별을 바라보면 별은 반짝거리지는 않습니다.그저 하얀 점이 가득히 떠있는 모습으로 보이는 것이 사실입니다. 실제로 별은 반짝이지 않습니다.그러면 왜 우리가 살.. 더보기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