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4차원이야기

전 세계의 위도와 자연환경 와우 분석하기입니다.

이번에는 저번 글에 이어서 지구의 기온과 자연 환경을 적도를 중심으로 분석해보도록 하겠습니다.

지중해성기후 cs 기후란 말 그대로 지중해 근처에서 생겨나는 기후입니다. 샌프란시스코 근처의 북아메리카 대륙이 지중해성기후에 포함됩니다. 샌프란시스코의 위도는 대한민국과 비슷한 위치에 자리잡고 있습니다. 지중해 자체의 위도도 대한민국과 비슷한 곳에 있습니다.


예를 들면 이태리 로마를 들 수 있습니다. 해발고도 107m로 연평균기온은 16도 연평균 강수량은 653mm입니다.

대한민국과 위도가 비슷하지만 여름철 장마가 지는 대한민국과는 다르게 지중해성기후에서는 여름철 가장 비가 적게 내립니다. 온도는 높지만 강수량이 적어 비가 내리지 않기때문에 이 지역은 여름철 뜨거운 태양을 즐기려는 사람들로 인산인해를 이루고 있습니다.

태양열이 발생하면 습기의 영향을 받아 해안가쪽 보다는 내륙쪽이 저기압을 형성하게 됩니다. 이에 따라 해안지방은 고기압 현상이 발생하기 때문에 날씨가 좋은 것입니다.


반대로 겨울이 되면 해안가 쪽에서 저기압이 형성되게 됩니다. 이에 따라서 상대적으로 기압이 높은 내륙지방애서 바람이 생성되어 불게 되는데 내륙지방에서 불어오는 차가운 바람 때문에 여름에 비해 절대적으로 많은 강수량을 가지게 되는 것입니다.

대표적으로 여름에 건조하고 겨울에 비가 많이 내리는 성격이 바로 지중해성기후입니다.


다음으로 알아볼 기후는 온대동계건조기후 cw기후 입니다.

북회귀선과 위도 30도 근처의 아이사 내륙에서 발생하여 형성되는 기후입니다.

대표적으로 홍콩을 예로 들 수 있습니다. 해발 33m로 연평균 22도 근처로 연평균 강수량 2,265mm 특징을 가지고 있습니다.

열대계절풍기후와 기후와 비슷한 성격을 띄는 기후로 연평균 강수량이 많은 편이며 거의 여름에 몰려있는 것또한 특징입니다.

열대기후가 연평균 일교차가 별로 크지 않은 것에 비해 온대동계건조기후는 여름철에 매우 뜨거운 현상을 보입니다.


황도에서 태양이 하지점 근처에 있을 때 가장 많은 햇빛을 받는 지역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반대로 동지점에 위치해 있을 때는 가장 햇빛을 적게 받는 지역이기도 합니다. 내륙에 위치해 있기 때문에 공기는 금방 뜨거워지게 됩니다. 이에 따라 공기는 저기압 현상을 띄게 됩니다. 하지만 내륙성지방이기 때문에 바다와 가까워 수분을 많이 머금은 바람이 형성됩니다.


대륙의 특징으로는 해가 떨어지면 온도가 급격히 떨어지게되고 온도의 영향으로 수분을 가득 머금고 있는 공기가 비를 내리게 됩니다.

반대로 겨울이 되면 대륙의 공기가 여름보다 뜨겁지 않기 때문에 수분을 가득 머금은 바람이 그만큼 내륙으로 불어오게 되지만 그만큼 비가 많이 내리지 않는 것입니다.


다음으로 온난습윤기후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북회귀선을 중심으로 위도 30도 근방의 중국해안지방 북 아메리카 동쪽의 해안에 남반구 위도 30도 근처의 남아메리카에서 등장하는 온난성 기후입니다. 예를 들면 아르헨티나의 부에노스아이레스 지역을 들 수 있으며 해발 25m 연평균 17도 강수량은 975mm를 가지고 있습니다.


강수량은 비교적 일정한 반면 겨울철에 조금 더 비가 많이 내리는 특징을 지니고 있습니다. 부에노아이레스의 경우에는 육지가 대부분 해안가와 맛닿아 있는 특징을 가지고 있는데 이런 특징 때문에 연간 기온차가 크지 않고 수분을 머금은 공기의 영향을 많이 받습니다.

바다가 육지보다 더욱 접촉면이 큰 지역으로써 내륙의 영향보다는 바다의 영향이 더욱 큰 지역에서 나타나는 기후가 바로 온난습윤기후 입니다.


지금까지 설명한 지역 기후를 바탕으로 와우의 지역들이 어떤 기후를 가지고 있는지 분석해보는 것은 게임 디자이너로써 많은 도움이 될 것입니다.

게임이 가지고 있는 특징을 살펴보다보면 단순히 그래픽 이미지를 마음대로 만드는 것이 아닌 자연 기후에 맞게 디자인하고 그 생태계 내에서 서식하고 있는 식물과 동물들이 어떤 형태로 진화해왔는지를 분석할 수 있습니다.


이런 생태계의 동식물은 외적 영향 뿐 아니라 내적 영향을 가지게 되는데, 이것이 바로 몬스터의 스킬이나 몬스터의 성격, 분포도 서식지 등을 결정하는 주요 요소가 되는 것입니다.


게임 디자이너가 지리와 역사를 공부해야 하는 이유가 여기에 있습니다.

다음 글에서 이어서 계속 지리적 환경과 적도를 중심으로 하는 자연 환경 분석을 해보도록 하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