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4차원이야기

와우 자연환경을 분석하기 위한 적도개념이해하기.

와우의 태양을 확인해본 적 있으신가요.

와우에서 존재하는 생태계와 자연환경이 과연 어떻게 만들어질 수 있는것일까요.

와우는 어떤 맵은 열대기후를 띄고 있고 어떤 맵은 설원으로 뒤덮어져있습니다.

활엽수가 있는 필드도 있고 침엽수가 있는 필드도 존재합니다.


일반적 게임이라면 자연환경을 고려하지 않았을 확률이 높습니다.

생태계를 만드는것은 생각처럼 쉬운 일이 아니기 때문입니다. 하지만 단순히 근본적인 질문부터 시작한다면 왜 자연환경을 고려해야 하는지 이해하기 쉬울 것입니다. 와우의 세계는 지구인가요. 아니면 다른 행성인가요.


지구라면 지구의 환경을 따를 것입니다. 만약 다른 행성이라면 해당 행성에 맞는 자연 환경을 가질 것입니다.

태양계 밖이 아닌 태양계 안이라면 과연 와우의 행성은 어딘가에 존재하는 것일까요.

그렇다면 와우의 게임 디자이너는 우주 안에 있는 아제로스가 존재하는 행성부터 디자인 해야 할 것입니다.

우리는 와우가 어떤 행성인지 알지 못합니다. 다만 와우 아제로스 안에 존재하는 자연 환경을 분석함으로써 대략적으로 어떤 환경인지 파악해볼 뿐입니다.


와우의 태양은 지구와 비슷하게 동작하는 매커니즘을 가지고 있습니다.

일단 자연환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지구의 적도 개념을 이해해야 합니다.


1) 열대우림기후 Af 는 적도 근처에서 발생하는 자연기후입니다. 예를 들어 싱가포르를 들 수 있습니다. 해발 고도 10m이고 연평균기온은 27.5도 근처를 맴돕니다. 1년 연평균 가우량은 2,821mm로 열대우림기후가 성립되려면 지구의 적도에 가장 가까운 곳에 위치해야 합니다. 적도에 가장 가깝게 위치한다는 이야기는 지구에서 태양까지 가장 가깝다는 이야기가 됩니다. 대륙과 바다간의 고도차이가 그다지 크지 않으며 태양열이 가장 가깝게 온다는 이야기는 도시에서 발생하는 수증기 증발이 대량으로 발생한다는 이야기가 됩니다.


적도에 가깝기 때문에 평년 온도가 매우 높으며 공기가 뜨겁게 데펴져있습니다. 뜨거워진 공기는 대량의 수증기를 발생시키고 이 수증기를 머금은 공기는 하늘에서 비로 바뀌어 평균 강수량의 증가를 발생시키게 됩니다.


2) 열대계절풍기후 am은 지구의 적도를 기준으로하여 남반구와 북반구의 지구 위도 20도 근처에서 발생되는 기후입니다.

열대우림기후를 중심으로 위도 20도 사이에 있는 지역에서 생겨나는 기후라고 이해하면 쉬울 것입니다.

예를 들어 미얀마의 수도인 양곤을 대표적으로 꼽을 수 있습니다. 양곤의 경우 해발고도는 18m로 연평균 27.5도 정도의 평균 기온을 가지고 있으며 1년동안의 연평균 강우량은 2,821mm입니다.

열대계절풍기후는 열대우림기후와 비슷한듯 보이지만 두드러지는 특징을 가지고 있습니다.

연평균 강수량은 열대우림기후와 크게 다르지 않습니다. 하지만 열대계절풍기후에서는 비가 내리는 시기가 1년 중 특정 시기에 집중되어 장마를 일으킨다는 차이가 있스니다. 열대우림기후는 12개월을 나눠서 대략적으로 비슷한 강수량을 가지고 있다면 열대계절풍기후는 4월에서 9월까지 장마전선을 형성하여 많은 비를 내리고 10월부터 3월까지는 건조한 기후를 나타내는 것이 특징입니다.


적도 근방에서 상승한 따뜻한 공기는 대류현상을 일으켜 위도 30도 근처로 이동하게 됩니다. 그렇게되면 기온이 급격히 낮아지고 무거워진 공기는 지표면으로 하강하게 됩니다. 이 공기는 대기 순환현상 때문에 다시 적도 근처로 이동하게 되는데 이런 과정을 통해 전향력의 영향을 받아 북동무역풍을 만들어 내게 됩니다.


이렇게 만들어진 공기는 차가운 공기로 황도가 적도의 북쪽 지역에 위치하는 여름이 되면 가장 뜨거워지는 이유가 여기에 있습니다.

뜨거워진 공기는 포화수증기량을 증가시키고 북동쪽에서 불어오는 차가운 공기의 영햐으로 뜨거운 공기가 식게 되는 것입니다. 이것이 바로 4월과 9월사이의 장마의 원인이 됩니다.

이런 현상과는 반대로 황도가 적도의 남쪽으로 이동하는 10월부터 3월까지는 건조한 공기의 탓으로 온도가 낮아지게 됩니다.

북동무역풍과의 온도차이가 많이 나지 않는 이유입니다. 열대우림기후는 주로 적도무풍지대나 그 근처에서 열대계절풍기후는 계절풍의 영향때문에 상대적으로 많이 받는 지역에서 발생하게 됩니다.


적도근처에 있는 지역들에 대한 기후를 분석해봤습니다. 이런 자연환경 분석을 통해 와우가 가지고 있는 자연환경을 분석할 수 있는 기초를 다질 수 있을 것입니다. 와우의 특정 지역 하나만을 놓고 분석하는 것 보다는 전체 필드를 하나의 행성으로 바라보는 시각이 필요합니다.

태양의 이동 주기와 행성의 공전과 자전 주기를 알아야 와우의 태양 움직임을 분석 할 수 있습니다.

그렇게 행성을 분석하다보면 와우의 게임 디자이너가 왜 이런 몬스터를 만들었는지 이해할 수 있게 됩니다.

동물형 몬스터가 배치된 것을 살펴보면 그냥 디자인된 것이 아닌 자연환경과 함께 배치된 것을 알 수 있습니다.


다음으로는 사바나기후와 스텝기후를 분석해보도록 하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