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4차원이야기

wow 행성과 자연환경 기후 분석하기입니다.

와우의 기후를 계속 이야기하고 있습니다.

사바나 기후에 대해 이야기해보려고 합니다. 사바나기후는 적도를 중심으로해서 대략적으로 위도 20도 근처에서 나타나는 기후 현상입니다. 열대기후와비교해도 연평균기온은 비슷합니다. 그러나 하나의 차이라면 연평균 강수량이 부족합니다. 이 말은 열대기후지역에 비해서 상당히 건조하다는 뜻입니다. 예를 들어보면 인도의 캘커타를 들 수 있습니다. 캘커타는 해발고도 314m로 연평균기온은 26.8도로 나타납니다. 연평균 강수량은 1,582mm로 확실히 강우량이 부족합니다.


열대기후와 위도가 비슷하지만 강수량이 부족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그 첫 번째 이유는 바로 고도입니다. 수증기를 잔뜩 머금고있는 뜨거운 공기가 위로 상승하면서 고도가 점점 높아질수록 공기의 온도는 내려가게됩니다. 이 때 바로 포화수증기량이 감소하는것입니다. 그러므로 바다에서부터 314m 위에 있는 캘커타의 상승된 공기가 대륙과 만날 때는 이미 일정량의 수증기를 잃어버린 상태의 공기가 되는 것입니다. 조금 더 쉽게 설명하자면 팬 현상과 비슷하다고 생각하면 될 것입니다.


열대계절풍기후와 동일하게 우기와 건기의 강수량 차이가 매우 큽니다. 캘커타의 연중 강우는 대부분 우기에 몰려있습니다.

이 원인은 바로 열대계절풍기후와 마찬가지로 계절풍의 영향을 매우 많이 받기 때문입니다.

적도에서 위도 20도 근처에 존재하는 <지구에서 가장 뜨거운 도시>로 불리는 이유입니다. 차가운 계절풍의 영향을 많이 받아서 가장 공기가 뜨거운 우기일 때 강수량이 많이 증가합니다. 적도 지역이지만 열대기후지방에 비해서 상대적으로 고도가 높아 상승된 공기의 포함된 수증기량이 비교적 적습니다.


다음으로는 스텝기후 bs에 대해 이야기해보도록 하겠습니다.

스텝기후란 대략 위도 20도 근처로 남반구를 기준으로 오스트레일리아 대륙의 위도 30도 근처 지역에서 나타나는 기후현상입니다.

러시아와 북아메키라의 경우 대략 위도 40~50도 근처에서 나타나는 현상으로 우리가 쉽게 이해하기 위해서는 초원기후라고 부르는 이름으로 불리기도 합니다. 예를 들면 인도의 뉴델리 지역이 스텝기후의 가장 대표적인 지역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해발고도 216m로 연평균기온이 25.3도로 연평균 강수량은 715mm로 매우 건조합니다.

열대기후를 띄고 있는 열대우림기후, 몬순이나 사바나 지역에 비해 위도가 상대적으로 높기때문에 태양열의 에너지가 상대적으로 적게 받습니다.

이에 따라 바다에서 발생한 드거운 공기 덕분에 수증기가 적게 발생하는 것이 특징입니다.

위도가 높아지기 때문에 황도의 기울기 차이로 인해 겨울과 여름의 온도차이가 적도 근방의 지역에 비해 심해지게 됩니다.


스텝기후의 대표적 특징으로는 3가지 정도를 꼽을 수 있습니다. 항성풍이라고 불리는 이 바람은 무역풍, 극동풍, 편서풍이 만나는 경계지점이 생기게 됩니다. 극지방에서 생성되어 올라오는 차가운 공기가 수증기를 가득 머금고 공기를 고위도 지방으로 이동시키게 됩니다.

이런 과정을 통해 점점 차가워져간 공기는 결국 위도 30도 근방에서 땅으로 내려오게 됩니다.

대략 위도 30도 근처에 머물던 공기는 상승하게 되고 적도에서 생겨난 공기는 땅으로 내려오면서 서로의 위치를 변경하는 지역이 바로 이 스텝기후가 발생하는 지역입니다.


이렇게 공기가 교차하게되면 이 과정을 통해 땅으로 비를 내리게 되는 것입니다. 우리깅 여름이 가장 태양고도가 높기 때문에 가장 더운 것입니다. 이렇게 우기가 되면 수증기가 공기 중에 많이 머금어지게 됩니다. 이 고온다습한 공기가 점점 상승하여 기온이 내려가면서 포화수증기량이 감소하게되고 비를 내리게 되는 것입니다.


적도에서 상승한 공기가 고위도지방으로 옮겨가면서 하강하는 지역이 바로 무역풍과 편서풍의 중간에서 생성되는 초원기후라는 것입니다.

이처럼 위도 50도 이상의 러시아나 북아메리카에서 존재하는것이 초원기후로 편서풍과 극동풍의 경계점에서 발생하는 원인이 됩니다.


다음으로 사막기후 bw기후를 설명하도록 하겠습니다.

대표적으로 북아프리카, 서아시아대륙, 중국의 내륙, 중앙 오스트레일리아를 중심으로 위도 20도~50도 사이의 내륙지방에서 발생되는 기후를 일컬어 사막기후라고 부릅니다. 예를 들면 이집트 카이로를 들 수 있으며 해발 272m 연평균기온 21도, 연평균 강수량 25mm로 비가 거의 내리지 않아 매우 건조한 지역을 일컫는 말읿니다. 바다에서 생겨난 수증기를 가득 머금은 따뜻한 공기가 내륙지방으로 이도하면서 그 열기를 잃게되는데 이 과정을 통해 머금고 있던 수증기가 증발하여 내륙지방으로 이동하면 이동할수록 건조한 상태의 바람이 되는 것입니다.


이 사막기후 때문에 내륙지방의 위도 20~50도 사이의 땅들이 점점 사막화가 되어가고 있는 것입니다.